윈도우 관련2018. 10. 4. 13:50
컴퓨터를 시작할 때 페이징 파일 구성에 문제가 있어 임시 페이징 파일을 컴퓨터에 만들었습니다. 모든 디스크 드라이브의 전체 페이징 파일 크기는 지정한 크기보다 조금 클 수 있습니다.

이미지1 : 페이징 파일 크기 변경 알림 메시지이미지1 : 페이징 파일 크기 변경 알림 메시지

윈도우 10 RS5 업데이트 이후 이런 메시지가 뜨기 시작했습니다. 가상 메모리를 늘려도 뜨고, 줄여도 뜨고, 사용 안 함으로 해도 뜨고 클린 설치가 정답인듯합니다. 저는 결국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메시지를 안 뜨게 했습니다. 결국 가상 메모리 사용 [페이징 파일 없음]으로 했고 레지스트리 편집기에서 일부 내용을 수정해서 위 메시지를 안 나오게 했는데 이게 정답인지는 모르겠습니다.

가상 메모리는 예전 램이 부족하던 시절 하드디스크에 파일 형태로 가상의 메모리 공간을 만들어 부족한 램을 서포터 했지만 지금은 램의 용량이 높으니 일단 페이징 파일 없이 사용해 봐야 겠습니다. 일부 프로그램 포토샵과 같은 무거운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문제가 될 거 같지만... 일단 보기 싫은 메시지를 안 나오게 하는 게 목적입니다.

이미지2 : 가상 메모리 설정 화면이미지2 : 가상 메모리 설정 화면

모든 드라이브에 [페이징 파일 없음]을 했고 설정 변경 후 꼭 [설정] 버튼을 눌러주세요.
이후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열어 아래의 두 값을 수정 했습니다.

이미지3 : 레지스트리 편집기 스크린샷이미지3 : 레지스트리 편집기 스크린샷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Session Manager\Memory Management

DisablePagingExecutive, TempPageFile 의 내용 값 데이터를 0으로 변경 했습니다.
Posted by syjnew
윈도우 관련2018. 10. 3. 17:40
Windows 10 RS5에서 스마트폰을 연결하여 문자 보기, 보내기가 가능하고 스마트폰의 사진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1. 윈도우즈 설정에서 [전화] 메뉴 선택.
이미지1 : Windows 설정 화면이미지1 : Windows 설정 화면

2. 휴대폰 화면에서 [휴대폰 추가]를 누름.
이미지2 : Windows 설정 - 휴대폰 화면이미지2 : Windows 설정 - 휴대폰 화면

3. 아래와 같이 "Android 또는 iPhone을 PC에 연결하기 (PC에서 바로 Android 휴대폰의 최근 사진을 보고 문자를 보내세요.)" 라고 화면이 나오면 국가번호 82를 확인하고 전화번호 입력 (예: 앞에 0을 제외한 번호 10-1234-5678)
이미지3 : 스마트폰 연결을 위한 문자 인증 화면이미지3 : 스마트폰 연결을 위한 문자 인증 화면

4. 잠시 후 문자 도착. 해당 링크를 누르면 [마이크로소프트 런처] 설치 화면으로 이동.
(마이크로소프트 런처를 사용하기 싫으신 분들은 처음 한 번만 설치 후 실행 로그인하시고 삭제 또는 기존 런처를 사용하셔도 됩니다.)
이미지4 : 런처 설치를 위한 문자메시지이미지4 : 런처 설치를 위한 문자메시지

5. Microsoft Launcher 설치 후 실행을 하면 화면 아래쪽에 [시작]버튼이 보이는데 이것을 눌러 시작합니다. 다음 다음을 눌러 마지막에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계정과 동일하게 로그인 또는 해당 아이디를 선택하시고 하단에 있는 [놀자!]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잠시 후 PC화면을 보면 아래와 같이 휴대폰이 연결된 것이 보입니다.
이미지5 : 윈도우와 스마트폰이 연결된 화면이미지5 : 윈도우와 스마트폰이 연결된 화면

6. 이제 키보드에 [윈도우키+S]를 눌러 [사용자 전화]를 검색합니다. 검색 후 실행은 하면 아래와 같은 프로그램이 시작 됩니다.
이미지6 : 사용자 전화 실행 화면이미지6 : 사용자 전화 실행 화면

7. 시작 버튼을 눌러 진행 쭉~ 진행하면 마지막에 아래와 같이 또 전화번호를 입력하라고 나옵니다. 위에서처럼 0을 제외한 번호를 입력하면 문자메시지가 도착합니다. 해당 문자의 링크를 누르면 [휴대폰 도우미]라는 어플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7 : 스마트폰에서 앱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링크 전송 화면이미지7 : 스마트폰에서 앱을 업데이트할 수 있는 링크 전송 화면
이미지8 : Google Play 휴대폰 도우미 설치 화면이미지8 : Google Play 휴대폰 도우미 설치 화면

8. 휴대폰 도우미 어플을 설치하고 실행해서 윈도우 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이미지9 : 휴대폰과 PC연결 마침 화면이미지9 : 휴대폰과 PC연결 마침 화면

9. 이제 조금 전 PC에서 실행한 [사용자 전화] 프로그램을 보면 아래와 같이 문자 보기, 보내기, 사진 보기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새 메시지] 작성 버튼을 눌러 확인해 보면 휴대폰 연락처도 연동되네요.
이미지10 : 사용자 전화 프로그램 화면이미지10 : 사용자 전화 프로그램 화면

* [사용자 전화] 프로그램을 종료해도 스마트폰에 문자수신 시 윈도우 알림창을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윈도우 알림창을 통해 문자 메시지가 노출되는 것이 싫으시면 [알림 관리]에서 해당 기능을 사용 안 함으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이제 편하게 컴퓨터로 문자 확인, 발송 하시고 사진도 편하게 컴퓨터로 보세요.
이미지11 : 문자 알림창 화면이미지11 : 문자 알림창 화면
Posted by syjnew
윈도우 관련2018. 10. 3. 14:46
이미지10 : 윈도우 로고이미지10 : 윈도우 로고


윈도우 10 RS5(레스트톤 5) 1809 RTM(Release to Manufacturing) 정식 버전이 나왔습니다.

-2018년 10월 06일 내용 추가-
현재 RS5를 설치하면 문서폴더에 파일들이 삭제되는 이슈가 있습니다. 조금 지켜보고 업데이트 하시기 바랍니다. 다행이 저는 삭제된 파일은 없지만 불안하네요.

Beta : Alpha 버전에 제품내 포함하고자 하는 대부분의 기능을 탑재
RC(Release Candidates) : 출시 후보
RTM(Release to Manufacturing) : 공장 출시 버전(최종 버전)

[윈도우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업데이트 확인]에서 RS5 업데이트 안 뜨는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웹사이트에서 Tool(Update Assistant) 다운로드하시고 실행하시면 RS5로 업데이트 가능합니다.


이미지1 : 설정 - Windows 업데이트 화면이미지1 : 설정 - Windows 업데이트 화면

이미지2 : Windows 10 웹사이트 화면이미지2 : Windows 10 웹사이트 화면

[지금 업데이트] 버튼을 눌러 Tool(Update Assistant)을 다운로드 하고 실행하시면 됩니다.

이미지3 : 업데이트 도우미 실행 화면이미지3 : 업데이트 도우미 실행 화면

윈도우 업데이트는 서버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위치, 기존 윈도우 버전 등에 따라 순차적으로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아직 RS5 업데이트가 안 뜨시는 분들은 위에 방법으로 설치하세요.

OS 빌드 17763.1이고 이번 버전에서는 안드로이드 OS 스마트폰과 SMS 연동 기능, HDR 기능 강화 등과 이전 버전의 버그 수정이 되었습니다. 다들 기대했던 탭 기능(Sets)는 다음 빌드로 연기되었습니다.
이미지4 : 탭 기능(Sets)이미지4 : 탭 기능(Sets)

업데이트 완료 후 버전 확인하기
이미지5 : 업데이트 완료 화면이미지5 : 업데이트 완료 화면

이미지6: Windows 10 버전 1809(OS 빌드 17763.1)이미지6: Windows 10 버전 1809(OS 빌드 17763.1)

업데이트 이후 주의사항
업데이트를 하고 나면 기존 버전이 남아 있어 디스크에 용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7 : 탐색기 화면이미지7 : 탐색기 화면

Windows.old 폴더가 있는데 삭제하셔도 됩니다. 기존 버전으로 돌아가야 하는 경우 필요합니다.
혹시라도 기존 버전으로 롤백 해야 할 경우 꼭 필요하니 남겨두시기 바랍니다.

시작에서 [디스크 정리] 라고 검색하고 실행 합니다. 실행되면 C드라이브를 선택하고 확인을 누르고 다음 화면에서 [시스템 파일 정리] 클릭합니다.
이미지8 : 디스크 정리 화면이미지8 : 디스크 정리 화면

시스템 파일 정리를 누르고 나면 잠시 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는 항목들이 나오는데 이중 [이전 Windows 설치] 항목을 체크하시고 확인 버튼을 누르시면 이전 윈도우 버전이 삭제됩니다.

여기에서 주의할 내용은 이전 버전에는 없었던 [다운로드] 폴더가 보입니다. 혹시 다운로드 폴더에 중요한 파일들을 다운로드하신 게 있으시면 체크하시면 안 됩니다.
이미지9 : 디스크 정리 화면(다운로드 폴더 선택 주의)이미지9 : 디스크 정리 화면(다운로드 폴더 선택 주의)


Posted by syjnew
스마트폰 관련2018. 10. 2. 14:55
이미지7 : 안드로이드P 로고이미지7 : 안드로이드P 로고

에센셜 폰(Essential PH-1) 구글 안드로이드 9.0 파이(Pie) 2018년 10월 보안패치가 나왔습니다.
구글 픽셀 폰 보다 먼저 나온 거 같아요.

이번 업데이트에는 보안패치 뿐만 아니라 노치(notch) 설정 부분이 다시 생겼습니다.

업데이트 내용
New Features Include:
- Google Security Patches 2018-10

이미지1 : 에센셜폰 업데이트 화면이미지1 : 에센셜폰 업데이트 화면

이미지2 : 빌드 번호: PPR1.181005.034이미지2 : 빌드 번호: PPR1.181005.034


* 기존에 있던 노치 설정 부분이 빠졌다가 다시 이번 보안패치 부터 다시 생겼습니다.

노치 설정 이란? : 노치 부분에 영역을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거나, 항상 사용할지 또는 노치 영역을 사용하지 않을지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아래 이미지처럼 어플에서 노치 부분을 지원하지 않으면 UI가 잘리거나 겹쳐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미지3 : 신한판 어플 화면 오류이미지3 : 신한판 어플 화면 오류

이럴 경우 아래와 같이 [설정 - 시스템 - 고급 - 개발자 옵션 - Essential notch settings] 메뉴에서 설정을 하시면 특정 어플은 노치 부분을 사용 안 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4 : Essential notch settings 화면이미지4 : Essential notch settings 화면

Set default for all applications
1. Controlled by application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됨)
2. Always use notch area (항상 노치 영역을 사용하십시오)
3. Never use notch area (노치 영역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1번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됨으로 선택하시고 Set default for all applications 메뉴 아래에 있는 Set per application 메뉴에서 노치를 사용 안 할 어플을 선택하시면 선택하신 어플만 노치 부분을 사용 안 하게 됩니다.

이미지5 : Essential notch settings 화면(특정 어플 지정)이미지5 : Essential notch settings 화면(특정 어플 지정)

Override default setting for 신한 FAN(앱카드)
1. Use global setting (전역 설정 사용)
2. Controlled by application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됨)
3. Always use notch area (항상 노치 영역을 사용하십시오)
4. Never use notch area (노치 영역을 사용하지 마십시오)

저는 신한판 어플을 선택하고 나오는 설정 메뉴에서 [4번 Never use notch area]를 선택했습니다.
이렇게 선택하고 해당 어플을 실해하면 아래와 같이 UI가 잘리거나 가리지 않고 정상적으로 어플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6 : 신한판 어플 화면 정상 출력이미지6 : 신한판 어플 화면 정상 출력
Posted by syjnew
DIY2018. 9. 30. 20:47
일신전기-2구3로-...

3로 스위치(three-way switch) 결선도 입니다.

예전에 주로 건물 계단에 많이 사용했습니다.


예를 들어 1층과 2층 사이에 전등이 있고 1층에서 2층으로 오를 때 1층에 있는 스위치로 전등을 켜고 2층에 도착해서 2층에 있는 스위치로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전등을 끌 때 또는 그 반대로 사용할 경우 이용하는 결선도입니다.


스위치 1번을 1층, 스위치 2번을 2층, 전등은 1층과 2층 사이에 있다고 가정하고 설명하겠습니다.



1. 현재 스위치 1은 OFF, 2는 ON 상태입니다. 전등은 OFF

이미지1 : 스위치 OFF / ON이미지1 : 스위치 OFF / ON


2. 어두운 저녁시간 사람이 건물에 들어와 2층으로 오르기 위해 스위치 1번을 ON 하면 전등이 ON 됩니다. 

이미지2 : 스위치 ON / ON이미지2 : 스위치 ON / ON


3. 사람은 2층에 오르고 1층과 2층 사이에 있는 전등을 OFF 해야 합니다. 다시 내려가 끌 수는 없습니다. 2층에 있는 스위치 2번을 OFF 하면 전등도 OFF 됩니다.

이미지3 : 스위치 ON / OFF이미지3 : 스위치 ON / OFF


4. 다시 다른 사람이 1층에서 스위치 1번을 ON에서 OFF로 토글 하면 전등은 ON 됩니다.

이미지4 : 스위치 OFF / OFF이미지4 : 스위치 OFF / OFF

Posted by syjnew
크롬 관련2018. 9. 23. 16:30
최근 크롬 브라우저 업데이트가 있었습니다.
현재 버전 69.0.3497.100(공식 빌드) (64비트) 입니다.

업데이트 이후에 플래시(Adobe Flash)를 사용하는 웹사이트인 경우 아래와 같이 화면에 보이지 않고 [Adobe Flash Player을(를) 사용하려면 클릭하세요.]라는 문구가 보입니다.

이미지1 : Flash 차단 화면이미지1 : Flash 차단 화면

이유는 플래시의 보안 취약점으로 크롬 브라우저의 정책 때문입니다.

Chrome 54(2016년 10월)부터 Adobe Flash는 더 이상 Chrome 브라우저 또는 Chrome MSI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Chrome은 사용자가 Flash 콘텐츠가 있는 사이트를 처음 방문할 때 Flash를 설치하고 Chrome 구성요소 업데이트를 통해 Flash를 계속 업데이트합니다.

참고: Adobe에서는 2020년 말에 Flash 지원을 중단할 예정입니다. Chrome 블로그를 방문하여 2020년까지 Chrome이 Flash와 호환되는 방법을 자세히 알아보세요.

다시 말해 이 웹사이트는 플래시가 포함되어 있고 이 플래시 파일은 보안이 취약하니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크롬 브라우저 69 버전 이전에는 해당 사이트에서 한 번만 허용으로 해주면 브라우저를 재실행 해도 바로 사용할 수 있었으나 69 버전부터는 브라우저 재시작 이후에 매번 허용해주어야 사용 가능으로 정책이 변경되었습니다.

자주 방문하는 사이트가 플래시를 사용한다면 매우 번거로운 일입니다.
그래서 허용 여부를 매번 묻지 않고 바로 사용 가능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미지2 : Flash 차단된 웹사이트 화면이미지2 : Flash 차단된 웹사이트 화면
이미지3 : Flash 권한 요청 화면이미지3 : Flash 권한 요청 화면

크롬 브라우저 주소창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하시면

chrome://flags/#enable-ephemeral-flash-permission

아래와 같은 Experiments 페이지가 나오며 수많은 설정 중에 "Enable Ephemeral Flash Permissions" 항목이 검색되어 나옵니다.

이 항목의 기본 설정값은 Default입니다. 이 값을 Disabled 해주고 화면 하단에 있는 RELAUNCH NOW 버튼을 눌러주면 크롬 브라우저가 재시작 되고 바로 플래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재시작 해도 재확인하지 않습니다.
이미지4 : 크롬 Experiments 화면이미지4 : 크롬 Experiments 화면

이와 같은 크롬 플래시 항상 허용 설정은 크롬 브라우저의 보안에 영향이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웹사이트에서만 Flash가 실행되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일부 웹사이트에서는 Flash Player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Posted by syjnew
DIY2018. 9. 21. 20:32
이어폰 또는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다가 보면 연결부위(잭)에 반복적으로 꺾임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케이블에 단선이 발생됩니다. 이 현상을 조금이나마 줄이기 위해 수축 튜브를 이용해 보강해 보았습니다. 뭐... 이어폰, 충전 케이블을 천년만년 사용할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조금이라도 오래 사용하고 싶은 마음에 작업해 보았습니다.

열 수축 투브란?
가열하면 수축하는 튜브. 단자 또는 형태나 크기가 다른 물질을 빈틈없이 꽉 싸는데, 대개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절연이나 그 밖의 용도로 사용된다.

수축 튜브의 사이즈와 색상은 무척 다양합니다. 적당한 사이즈와 색상을 선택하세요.
NETmate NM...
이미지1 : 다양한 수축 튜브이미지1 : 다양한 수축 튜브

1. 우선 이어폰의 잭 부분의 지름을 측정합니다. 대략 5mm가 나오네요.
2. 이 이어폰에 사용할 수축 튜브의 지름은 6.5mm 짜리를 사용했습니다.
이미지2 : 이이폰잭 지름 측정 화면이미지2 : 이이폰잭 지름 측정 화면
이미지3 : 수축 튜브 지름 측정 화면이미지3 : 수축 튜브 지름 측정 화면

3. 수축 튜브를 적당한 길이로 자르기
4. 자른 수축 튜브를 케이블(잭)에 끼우기
이미지4 : 수축 튜브 길이 화면이미지4 : 수축 튜브 길이 화면
이미지5 : 수축 튜브 열 가하기 전 화면이미지5 : 수축 튜브 열 가하기 전 화면

5. 이제 가열을 합니다. 집에서는 보통 라이터 또는 헤어 드라이어를 이용하면 쉽게 수축시킬 수 있습니다. 라이터보다는 헤어드라이어를 추천합니다. 대략 30초 정도 돌려가며 가열하시면 됩니다.
이미지6 : 수축 튜브 가열 화면이미지6 : 수축 튜브 가열 화면

6. 가열 후 모습입니다. 딱 맞게 수축하였습니다.
이미지6 : 완성 화면1이미지6 : 완성 화면1
이미지7 : 완성 화면2(Type C)이미지7 : 완성 화면2(Type C)
이미지7 : 완성 화면3(이어폰잭)이미지7 : 완성 화면3(이어폰잭)
Posted by syjnew
IT 제품리뷰2018. 9. 21. 19:49
이번에 에어컨 구입하면서 소비전력 측정용으로 구입한 스마트플러그(IOT 플러그)입니다.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언제 어디서나 SK텔레콤 스마트홈 앱을 통해 가족 모두가 자유롭게 스마트 플러그를 ON/OFF 할 수 있습니다.
2. 현재 전기 사용량/요금 및 월말 예상 요금 정보 제공으로 전기 절약 습관에 도웁을 드립니다.
3. 원하는 시간에 ON/OFF 예약을 설정하여 자동으로 스마트 플러그를 작동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4. 위젯 기능으로 더욱 편리하게 스마트 플러그 ON/OFF가 가능합니다.
5. SK텔레콤 인공지능 스피커 누구와 연결하여 음성으로 스마트 플러그 ON/OFF가 가능합니다.

이중 저는 2번 전기 사용량 체크를 위해 구입했습니다.
(기기 구매만 하면 LG U+ 제품과는 다르게 월 요금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 제품의 정격용량은 3.5KW입니다. 일반 가정용 스탠드 에어컨 사용에 문제가 없는 넉넉한 용량입니다. 저희 집 스탠드 에어컨 사용 중 최대 소모 전력은 2800W 정도였습니다.
이미지1 : 제품 구성품이미지1 : 제품 구성품

구성품은 무척 간단합니다. 플러그 본체 1개, 간단 설명서 1장 끝.

이미지2 : 스마트 플러그이미지2 : 스마트 플러그
이미지2 : 스마트 플러그이미지2 : 스마트 플러그
이미지3 : 스마트 플러그이미지3 : 스마트 플러그
이미지4 : 스마트 플러그이미지4 : 스마트 플러그
이미지5 :꺼짐 상태 (오렌지색 램프)이미지5 :꺼짐 상태 (오렌지색 램프)
이미지6 : 켜짐 상태 (연두색 램프)이미지6 : 켜짐 상태 (연두색 램프)

제공되는 어플은 "SKT 스마트홈"이라는 어플입니다.

단순히 스마트플러그만을 위한 어플은 아니고, IOT 기능이 있는 냉장고, 세탁기, 가습기, 제습기, 로봇청소기, 보일러, 등등 다양하게 연결하여 하나의 어플로 컨트롤 가능합니다.

저는 린나이 보일러, LG 에어컨, 스마트 플러그 이렇게 3가지 장비를 연결해두고 있습니다.
(이중 에어컨은 플러그를 뽑아놓아 미응답으로 표시되는군요.)
이미지7 : 어플에 등록된 화면이미지7 : 어플에 등록된 화면

저는 아래의 기능 때문에 구입했습니다. 바로 실시간 전력 사용량 체크 기능합니다. 누적 메뉴에는 "오늘 누적 사용량과 이번 달 누적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 전력 사용량 그래프 메뉴를 이용하게 되면 시간대별, 일별, 주별, 월별 다양하게 선택하여 전력 사용량 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7 : 실시간 전력 사용 현황 화면이미지7 : 실시간 전력 사용 현황 화면
이미지8 : 전력 사용량 그래프 화면이미지8 : 전력 사용량 그래프 화면

SKT 스마트홈 스...
또, 플러그에서 사용하는 전기가 설정해둔 값 이하로 떨어지면 대기전력으로 판단하고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과 1일 최대 사용량을 설정해 두면 설정값 보다 많이 사용하게 되면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예약 기능에는 원하는 시간 또는 타이머 기능이 있어 설정해둔 시간에 ON/OFF를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효도 기능" 정말 좋은 기능 같습니다.

효도 기능이란 부모님 집에 설치하고 자주 사용하시는 제품(예. TV, 세탁기 등)에 연결해 두면 일정 시간 사용 이력이 없으면 정해진 휴대폰으로 문자 알림이 발송됩니다.

늘 아침방송을 보시는 간혼 아침방송을 시청 안 하시게 되면 알림이 전송되는 형식입니다.

그리고 스샷에는 없지만 외출 시, 귀가 시 GPS 정보를 가지고 판단하여 외출하게 되면 꺼지고, 귀가하게 되면 켜지게 할 수도 있습니다. 가격 대비 다양한 기능이 많고 좋아서 추천 합니다.
이미지8 : 효도기능 화면이미지8 : 효도기능 화면
Posted by syjnew
이벤트 정보 및 기타2018. 9. 17. 21:22
신한체크카드 지방세 납부 안내 이미지

어자피 내야 하는 세금! 조금이나마 절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는 네이버체크카드를 페이코에 등록해서 페이코로 결제 하고 있습니다.)

카드사별 이벤트를 하는데 이런 이벤트를 잘 용하시면 절세할 수 있습니다.
이번 지방세(재산세) 납부에는 신한카드에서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신한체크카드를 이용하면 0.15%를 현금 캐시백 해주고 있네요.
만약 사용 중인 체크카드가 "네이버체크카드"라면 추가 1%를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적립니다.

-출처 : 신한카드 이벤트 페이지-
행사기간 : 2018년 09월 01일 ~ 2018년 12월 31일
행사내용 : 행사기간 중 신한 개인체크카드로 지방세를 납부하신 고객님께 월간 납부하신 합산금액의
0.15%를 현금 캐시백 해드립니다.

참여방법
납부대상 : 취등록세, 재산세, 자동차세, 지방소득세, 주민세, 레저세 등
납부채널 : - 인터넷 납부(행정자치부, 금융결제원 인터넷지로, 서울시/부산시)
              - 은행 CD/ATM 납부
              - 서울시는 스마트폰 어플 납부 가능
              - ARS 납부 (서울시, 부산시 등 27개 지자체)

페이코 지방세 납부 로고
Posted by syjnew
윈도우 관련2018. 9. 16. 18:10
컴퓨터를 사용하고 있는데 문자 메시지가 오거나 또는 장문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때 스마트폰의 작은 키보드로 입력하기 힘들었는데 구글 안드로이드의 공식 "Android 메시지" 앱에서 PC와 연동하여 SMS를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메시지 웹 버전
컴퓨터에서 문자 메시지 웹 버전을 통해 친구와 문자를 주고 받을 수 있습니다. 메시지 웹 버전에는 메시지 모바일 앱(안드로이드 공식 문자 어플)에서 제공되는 내용이 표시됩니다. 메시지 웹 버전에서는 컴퓨터와 휴대전화의 연결을 활용하여 SMS 메시지를 전송하므로 모바일 앱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사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참고: 메시지 웹 버전의 QR 코드는 컴퓨터마다 다르며, 모바일 앱을 컴퓨터와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러 기기에 메시지 계정을 연결할 수 있지만, 한 번에 한 대씩만 활성화됩니다. 컴퓨터에서 메시지 웹 버전을 열면 다른 컴퓨터나 브라우저 탭에서 진행 중인 대화는 비활성화됩니다.

앱 설치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ogle.android.apps.messaging
또는 Google Play 앱에서 "Android 메시지" 검색

메시지 웹 버전 PC 접속 주소 : https://messages.android.com

사용방법 무척 간단합니다.
1. 우선 스마트폰에 구글 공식 문자메시지 "Android 메시지" 어플을 설치합니다.
(구글 레퍼런스 스마트폰은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미지1 : Android 메시지 어플 설치 화면이미지1 : Android 메시지 어플 설치 화면

2. 어플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일반 문자메시지 앱입니다.
(저는 "어두운 모드?"를 사용 중입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 메뉴를 눌러 "메시지 웹 버전"을 실행합니다.
이미지2 : 문자 메시지 화면이미지2 : 문자 메시지 화면
이미지3 : 문자 메시지 메뉴 화면이미지3 : 문자 메시지 메뉴 화면
이미지4 : 메시지 웹 버전 QR코드 스캔 화면이미지4 : 메시지 웹 버전 QR코드 스캔 화면

3. 스마트폰에서 "QR 코드 스캔을" 눌러 코드를 스캔할 준비를 합니다.
그리고 PC에서 "메시지 웹 버전" 접속을 하면 아래와 같이 QR코드가 보입니다.
(메시지 웹 버전 접속 URL : https://messages.android.com)
이미지5 : PC QR코드 스캔 화면이미지5 : PC QR코드 스캔 화면

4. 스마트폰으로 PC의 QR코드를 스캔하면 끝!
이미지6 : PC QR코드 스캔 화면이미지6 : PC QR코드 스캔 화면

QR코드를 스캔하면 아래와 같이 스마트폰과 연동되면서 문자메시지(SMS)를 확인 할 수도 있고 보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처음 실행 시 물어보는 "이 컴퓨터 기억하기"에서 확인을 눌러주면 다음에 접속할 때는 QR코드 스캔 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이미지7 : PC 메시지 연결화면이미지7 : PC 메시지 연결화면
이미지8 : PC 메시지 내용 연결화면이미지8 : PC 메시지 내용 연결화면

또, Shift + /(?) 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단축키도 확인 가능합니다.

이미지9 : PC 메시지 자판 단축키이미지9 : PC 메시지 자판 단축키

이제 편하게 PC로 문자메시지 주고받으세요.
Posted by syjnew